컬쳐

동아시아의 수용소와 난민에 대해 논하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 팬데믹과 엔데믹을 거치며 ‘수용과 격리’는 사회적 주요 이슈로 부각되었다. 장애인 탈시설 운동과 관련된 여러 책이 출간되었지만, 이 주제를 학술적으로 깊이 다룬 작품은 드물었다. 최근 출간된 '수용, 격리, 박탈'은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며, 현실과 학술적 실천을 연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책은 밀항, 수용소, 재일조선인 등의 문제를 다룬 기존 작품들과 연계하여, 수용소의 경험을 역사적 맥락에서 현재로 연결한다. 책임편집자인 신지영은 서문에서 이 책의 독특한 의미와 위치를 강조하며, 다양한 동아시아의 수용소와 난민 문제를 탐구한다. 저자들은 타이완, 일본, 한국 등에서 활동하는 15명의 연구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기 다른 시각에서 수용소의 역사와 사회 구조를 분석한다.

 

책의 각 부에서는 국내 난민, 폭력과 배제의 사회, 식민주의 시기의 폭력 등을 다루며, 수용소를 단순히 과거의 장소로 한정 짓지 않고 현재와 연결 짓는다. 특히, 수용소를 사회 구조와 연결하여 ‘사회라는 수용소’ 개념을 제시하며, 수용소화된 삶의 복잡한 경험을 조명한다.

 

책은 피해자와 가해자의 경계가 중첩된 상황에서 윤리를 탐구하고, 수용소를 피난소로 여기는 아이러니를 담아낸다. 공해 문제와 관련된 글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성찰하며, 퀴어한 연결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마지막으로는 수용소 없는 사회를 상상하는 데 필요한 질문들을 던지며, 다양한 존재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지점을 찾고자 한다.

 

이 책은 수용소화된 삶을 살아가는 존재들의 힘과 복잡성을 드러내며, 독자에게 저항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처럼 ‘수용소 없는 세상’을 상상하며 서로를 부르는 힘을 탐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