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er

'한국이 싫어서'에 나타난 청년이 도망치고 싶은 현대 한국 사회

영화 ‘한국이 싫어서(감독 장건재)’는 20대 후반 여성 계나(고아성)가 한국을 떠나고자 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그는 '여기서는 살 수 없어서' 떠나려 하며, 그 과정에서 겪는 사건과 감정을 담고 있다. 플롯은 익숙하지만, 영화는 한국과 외국을 오가며 우리의 현실을 솔직하게 탐구한다.

 


계나의 남자친구 지명(김우겸)은 열심히 살면 기회가 주어지는 금수저로, 계나에게 떠나지 말라고 설득한다. 그는 어떻게 살아왔는데 쉽게 떠날 수 있냐고 반문한다. 계나는 바다 건너의 섬나라가 한국보다 더 행복할 것이라며, 한국에서는 더 이상 버틸 수 없기에 선택하려 한다. 계나는 남들 눈에는 괜찮아 보이는 직장에 다니지만, 사실은 힘겹게 살아가는 ‘흙수저’이다.

 

계나의 가족은 작은 아파트에서의 행복을 소중히 여기며 살아간다. 계나의 어머니는 가족의 건강을 가장 큰 행복으로 여기고, 아버지는 하루의 고단함을 막걸리로 달랜다. 그들은 공부에 보태준 것 없지만 번듯하게 자라 대학 나오고 취업까지 한 'K-장녀' 계나가 24평 아파트로 옮겨갈 3천만 원을 보태줄 것이라 믿고 있다. 그러나 그 3천만 원은 계나가 매일 새벽 6시에 일어나 출근하며 벌어온 돈이며, 결국 부모에게 보태지 않고 뉴질랜드로 이민 가는 데 사용한다.

 

2015년 장강명 작가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이 영화는 한국에서 살아가는 청춘의 현실을 조명하며, 한국과 그 반대편의 행복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계나와 친구들, 가족들의 삶을 교차하며 보여주며, 행복하지 않은 현실과 그 사이의 괄호 쳐진 행복을 탐구한다.

 

영화는 한국 사회의 불안한 구조를 드러내며, 청년들이 겪는 무력감과 비관을 보여준다. 스위스 철학자 알랭 드 보통은 현대인의 불안을 지위 상승 가능성과 관련지어 설명했으며, 특히 한국 사회는 교육, 지역, 문화에 따른 차별이 심각하다. 계나와 친구들은 이러한 위계의 가장 낮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헬조선’과 ‘탈조선’ 담론은 현실에 대한 청년들의 체념을 반영하며, 계나는 뉴질랜드를 선택한다. 그러나 그곳에서도 언어의 장벽과 인종차별을 겪는다. 그러나 이미 '한국 사회'를 견뎌낸 계나에게 이 정도 불행은 걸림돌이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