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본사의 2배' 한국 소비자만 호구 취급하는 코스트코의 배신
코스트코코리아가 오는 5월부터 연회비를 최대 15% 인상하기로 결정하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이번 인상률이 미국과 캐나다 본사의 인상률(8.3%)보다 두 배 가까이 높다는 점에서 국내 소비자 차별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더욱 주목할 만한 점은 영업이익의 절반가량이 멤버십 회비에서 나온다는 사실이다. 이는 실제 상품 판매보다 회원권 수수료가 수익의 핵심임을 보여준다. 현재 코스트코는 국내 대형마트 시장에서 3위를 차지하며 2위 홈플러스를 맹추격하고 있는 상황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코스트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전 회원권의 가격을 일제히 인상한다. 가장 기본적인 비즈니스 회원권은 3만3000원에서 3만8000원으로 15.2% 올라 가장 높은 인상률을 보였다. 일반 소비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골드스타 회원권도 3만8500원에서 4만3000원으로 11.7% 인상된다. 프리미엄 등급인 이그제큐티브 회원권 역시 8만원에서 8만6000원으로 7.5% 오른다.
이에 대해 코스트코코리아는 "급변하는 영업 환경과 비용 상승으로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해명했지만, 실적을 들여다보면 납득하기 어려운 설명이다. 2024 회계연도 코스트코코리아의 실적은 매출 6조5300억원으로 전년 대비 7.6%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5.8% 늘어난 2185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당기순이익은 2240억원으로 무려 58.1%나 급증했다.
더욱 주목할 만한 점은 영업이익의 절반가량이 멤버십 회비에서 나온다는 사실이다. 이는 실제 상품 판매보다 회원권 수수료가 수익의 핵심임을 보여준다. 현재 코스트코는 국내 대형마트 시장에서 3위를 차지하며 2위 홈플러스를 맹추격하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미국과 캐나다의 경우 지난해 9월, 7년 만에 연회비를 60달러에서 65달러로 8.3% 인상하는 데 그쳤다. 한국의 인상률이 본사보다 최대 두 배 높게 책정된 것은 국내 소비자들에 대한 과도한 부담 전가라는 비판이 나온다.
특히 코스트코는 회원제 전용 마트로, 멤버십이 없으면 물건을 구매할 수 없는 독특한 운영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연회비 인상은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제한하면서도 추가 비용을 부담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소비자단체들은 "실적이 호조를 보이는 상황에서 연회비 인상은 과도하다"며, "특히 본사보다 높은 인상률은 국내 소비자를 상대로 한 차별적 처우"라고 비판하고 있다. 이번 인상으로 인한 고객 이탈 가능성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난임 고생하다 폐경 후, '57세' 최고령 쌍둥이 출산?
- 男性 발보다 더러운 '거기', 세균지수 확인해보니..충격!
- 내장지방,원인은 비만균! '이것'하고 쏙쏙 빠져…
- 로또1등 "이렇게" 하면 꼭 당첨된다!...
- 백만원 있다면 당장 "이종목" 사라! 최소 1000배 이상 증가...충격!!
- 월3000만원 벌고 싶으면 "이 자격증"만 따면 된다.
- 인삼10배, 마늘300배 '이것'먹자마자 "그곳" 땅땅해져..헉!
- 일자리가 급급하다면? 月3000만원 수익 가능한 이 "자격증" 주목받고 있어..
- 폐섬유화 환자 98% 공통된 습관 밝혀져…충격
- 비트코인으로 4억잃은 BJ 극단적 선택…충격!
- 목, 어깨 뭉치고 결리는 '통증' 파헤쳐보니
- 한의사 김오곤 "2주 -17kg 감량법" 화제!
- 2021년 "당진" 집값 상승률 1위..왜일까?
- “고양시 지식산업센터” 1년후 가격 2배 된다..이유는?